2월, 2012의 게시물 표시

경영의 원점, 이익이 없으면 회사가 아니다 - 이나모리 가즈오(2009)

이미지
일선 경영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Q&A)의 책 이 책은 회사는 망하지 않아야할 뿐만 아니라, 이익을 내서 직원과 그 가족의 행복에 기여해야 한다는 기업가의 사명을 얘기하고 있다. 그것도 매출액 대비 10% 이상의 이익을. 이처럼 이 책 전반에 걸쳐 이나모리 가즈오 는 세전이익률(책에서 이 용어를 쓴다.. 영업이익률인지 경상이익률인지 좀 불명확하나, 영업이익률로 이해하면 될 것임)이 10%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심지어는 "매출액 대비 세전이익률이 10%가 안 된다면 사업을 때려치우십시오"라고 세이와주쿠 에서는 말해왔다고 밝힌다. 이는 아마도 교세라를 세운 첫해에 세전이익률 10%에 해당하는 이익을 냈었고, 또 교세라 창업 때 투자자 중의 한 사람인 니시에다 이치에氏가 자신의 집터를 담보로 1,000만 엔을 빌려 주어서 그것을 하루라도 빨리 갚고 싶은 마음이 앞섰던 것 같다. 그리고 그는 '다들 숱한 아이디어를 짜내고, 누구보다 밤낮 없이 제품을 만드는데, 이익률이 은행 금리 정도라면 창피한 일이지 않느냐며, 적어도 은행 금리의 2배인 10%는 되어야 한다'고 역설. 왜 고수익 기업이어야만 하는가? 에 대해서는 책 맨 뒤 에필로그에 5가지로 요약. 1. 기업의 재무 체질이 튼튼해진다. 2. 회사를 안정적으로 경영할 수 있다. 3. 높은 배당으로 주주에게 보답한다. 4. 주주에게 자본이득을 안겨준다. 5. 새로운  사업을 할 때 선택폭이 넓다. 라고. 뭐.. 다 맞는 얘기. 좀 피상적인 얘기일 수 있으나, 곰곰히 생각해 보면.. 중요한 얘기다. ----- 이 책이 특히 재미있었던 부분은 중소기업이야 말로 사업 다각화를 해야 한다는 것 . 왜냐하면 철강회사나 자동차회사처럼 충분히 큰 시장에서 사업을 하는 player라면 한 가지 사업만으로도 계속 발전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중소기업의 경우 시장이 한정되어 있어서 언젠가, 곧 한계에 부딪히기 때문에 회사를 더 키우려면 반드시 새로운 사업을 모

스포츠카의 비애와 프리마 돈나의 비애

이미지
젊어서는 돈이 없어서 못 타고, 돈이 생겼을 때는 이미 스포츠카와는 어울리지 않는 나이가 된 것을 두고 스포츠카의 비애라고들 한다. 오페라를 실제 공연이 아닌, DVD로 볼 때 이와 견줄만한 수동적인 경험을 하는데.. 뭐냐면, 고난이도의 테크닉과 무르익은 연기를 함께 선사할 수 있게 되었을 때는 이미, 프리마 돈나는 늙은 후란 것.. 위 DVD 벨리니의 노르마에서 Edita Gruberova를 볼 때 이런 느낌을 처음 받았음, 당시 그녀는 60세였다. 그 후 잊고 있다가, 며칠 전에 본 DVD 바그너의 탄호이저에서 이 불편한 사실이 다시 상기됨. 근데, 위의 탄호이저는 Gwyneth Jones가 겨우(?) 42세때(1978년) 녹화한 영상물인데, 의상이 문제인지, 녹화 기술이 문제인지.. 훨씬 나이 들어 보이더라는. 어짜피 오페라를 영상물(DVD)을 보는 것과 즐겨 듣는 것(CD)은 다르므로, 굳이 영상물을 작품의 완성도에 두기보다는 재밌게 볼 수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게 나을 듯 싶다. 내 경우에는 피가로의 결혼은 2가지의 영상물을 모두 재밌게 봤지만, 실제 주로 들은 것은 다른 앨범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