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가 바다의 일이라면 - 김연수(2012)

읽는 중간 274페이지에서 멈췄다. 바람의 말 아카이브 제2전시실의 모니터에서 흘러 나온 조유진의 목소리이다.
"제 영화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 상징은 날개입니다. 말하자면 이런 식이에요.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서로에 대한 이해를 가로막는 심연이 존재합니다. 그 심연을 뛰어넘지 않고서는 타인의 본심에 가닿을 수가 없어요. 그래서 우리에게는 날개가 필요한 것이죠. 중요한 건 우리가 결코 이 날개를 가질 수 없다는 점입니다. 날개는 꿈과 같은 것입니다. 타인의 마음을 안다는 것 역시 그와 같아요. 꿈과 같은 일이라 네 마음을 안다고 말하는 것이야 하나도 어렵지 않지만, 결국에 우리가 다른 사람의 마을을 알 방법은 없습니다." (p.274~275)

내가 살아 온 날들의 시간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신의 물방울 12사도 와인 리스트

손장섭: 역사, 그 물질적 흔적으로서의 회화 - 학고재 갤러리

국립현대미술관, 데이비드 호크니展 - 와터 근처의 더 큰 나무들

김보희 작가 개인전 ‘자연이 되는 꿈’ - 학고재갤러리 그리고 프린트 베이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