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집, 집에 대한 로망을 터치하다.
내가 땅콩집이라는 단독주택을 알게 된 건, 지난 5월 14일 KBS 2FM 황정민의 FM 대행진에서 '두 남자의 집짓기: 땅부터 인테리어까지 3억으로'라는 책이 소개되는 것을 듣게 되면서 부터이다.
그래서 땅콩집에 대해 구글링해서 트윗도 하고.
책도 주문해서 읽고.. 나와 함께 아내도 읽고.
다소 의외였던 건, 아내의 반응.. 매우 긍정적이었다. 이유는 단독주택은 관리비가 많이 드는데, 이 땅콩집은 매우 합리적인 수준이라는 점, 그리고 아이들에게 마당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 크게 공감했다고.
나 같은 경우에는, 단독주택에 살면 소소한 집안일꺼리가 있어 가족과 함께하는 주말이 즐거울 것 같아서이다. 아파트에서 남자가 할 수 있는 집안일이 많지 않다. 겨우 욕실 환풍기 교환, 욕실 변기의 실리콘 보수 정도.. 이 마저도 대부분 외부의 집 보수 업체에 맡기는 게 일반적이다.
내친김에 일단 잘 지은 단독주택 단지의 대명사라는 용인 양지 발트하우스와 지산 발트하우스를 다녀 왔다.
양지 발트하우스의 경우 이미 3단지까지 입주가 다 되어 있고, 실제로 거주하고 있어서 경제적인 여유만 된다면 당장이라도 들어 가서 살고 싶은 곳으로 매우 훌륭했다.
지산 발트하우스의 경우, 아직 단지 조성이 다 되지 않았고, 살고 있는 가구가 몇 안 된다고 한다. 하지만 양지 발트하우스보다 (비전문가인 내가 보기에는) 땅은 더 좋아 보인다. 완만한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고 시야가 확 트여 있다.
땅콩집 네이버 카페에도 가입해서 게시물들을 찬찬히 읽어 보았고, 그 뜨거운 관심과 형편만 된다면 단독주택에서 살고 싶은 로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땅콩집이 세인들의 관심은 방송까지 타게 하였다. MBC스페셜 519회(2011-06-03) 둘이서 집 짓기, 땅콩집 이야기 (방송은 좀 미화하는 성격이 있어, 감안하고 봐야 하지만...)
소감1. 땅콩집과 관련하여 참 흥미로운 점은, 한 개인이 이러한 문화를 선도한다는 것이 사실 놀라운 일이다. 위 다큐 말미에도 이런 얘기가 나온다.
문훈(건축가): '통쾌한 게 하나 있는데 뭐냐하면 나라에서 만날 정책을 얘기하고 수없는 많은 학자들이 있는데, 사실 뭐 아무것도 하는 게 없잖아요. '안돼, 안돼' 이러는데 한 개인이 개인의 욕망에서 출발해서 나라를 생각하고 한 건 아니잖아요. 자기 개인의욕망에서 출발했지만, 그것이 어떤(뭔가를)만들었다는 데에서 되게 통쾌합니다.'
소감2. 대한민국의 모든 가정이 땅콩집에 살아서도 안 되듯이, 서울의 주거문화도 획일화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되었으면 한다. 우리는 '저급한' 아파트에서 살만큼 살았다. 어쩌면 지금은 과도기라고 본다. 단독주택 주거 비율은 좀 높아질 것이고, 고급 주거공간의 공급도 늘어날 것이다.
혹시 정부의 경제정책 중에 이러한 다양한 주거공간 공급에 걸림돌이 있다면, 시급히 개선해 가야 할 것이다.
소문3. 서울에서 어린 자식을 둔 직장인 가족이, 아파트를 버리고 3억짜리 땅콩집으로 '실제' 이사를 간다는 것은, 경제적으로 매우 어렵고, 큰 결정이다. 직장생활하면서 여태 모은 전 재산을 탈탈 털어서 가는 것이나 다름 없는데.. 용기와 가족의 동의 없이는 불가능 할 듯.
(출처: YES24)
그래서 땅콩집에 대해 구글링해서 트윗도 하고.
(트윗 속 링크는 땅콩집 구경하기이다)
책도 주문해서 읽고.. 나와 함께 아내도 읽고.
다소 의외였던 건, 아내의 반응.. 매우 긍정적이었다. 이유는 단독주택은 관리비가 많이 드는데, 이 땅콩집은 매우 합리적인 수준이라는 점, 그리고 아이들에게 마당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에 크게 공감했다고.
나 같은 경우에는, 단독주택에 살면 소소한 집안일꺼리가 있어 가족과 함께하는 주말이 즐거울 것 같아서이다. 아파트에서 남자가 할 수 있는 집안일이 많지 않다. 겨우 욕실 환풍기 교환, 욕실 변기의 실리콘 보수 정도.. 이 마저도 대부분 외부의 집 보수 업체에 맡기는 게 일반적이다.
내친김에 일단 잘 지은 단독주택 단지의 대명사라는 용인 양지 발트하우스와 지산 발트하우스를 다녀 왔다.
(사진 출처: jaee.net)
양지 발트하우스의 경우 이미 3단지까지 입주가 다 되어 있고, 실제로 거주하고 있어서 경제적인 여유만 된다면 당장이라도 들어 가서 살고 싶은 곳으로 매우 훌륭했다.
지산 발트하우스의 경우, 아직 단지 조성이 다 되지 않았고, 살고 있는 가구가 몇 안 된다고 한다. 하지만 양지 발트하우스보다 (비전문가인 내가 보기에는) 땅은 더 좋아 보인다. 완만한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고 시야가 확 트여 있다.
땅콩집 네이버 카페에도 가입해서 게시물들을 찬찬히 읽어 보았고, 그 뜨거운 관심과 형편만 된다면 단독주택에서 살고 싶은 로망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땅콩집이 세인들의 관심은 방송까지 타게 하였다. MBC스페셜 519회(2011-06-03) 둘이서 집 짓기, 땅콩집 이야기 (방송은 좀 미화하는 성격이 있어, 감안하고 봐야 하지만...)
소감1. 땅콩집과 관련하여 참 흥미로운 점은, 한 개인이 이러한 문화를 선도한다는 것이 사실 놀라운 일이다. 위 다큐 말미에도 이런 얘기가 나온다.
문훈(건축가): '통쾌한 게 하나 있는데 뭐냐하면 나라에서 만날 정책을 얘기하고 수없는 많은 학자들이 있는데, 사실 뭐 아무것도 하는 게 없잖아요. '안돼, 안돼' 이러는데 한 개인이 개인의 욕망에서 출발해서 나라를 생각하고 한 건 아니잖아요. 자기 개인의욕망에서 출발했지만, 그것이 어떤(뭔가를)만들었다는 데에서 되게 통쾌합니다.'
소감2. 대한민국의 모든 가정이 땅콩집에 살아서도 안 되듯이, 서울의 주거문화도 획일화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되었으면 한다. 우리는 '저급한' 아파트에서 살만큼 살았다. 어쩌면 지금은 과도기라고 본다. 단독주택 주거 비율은 좀 높아질 것이고, 고급 주거공간의 공급도 늘어날 것이다.
혹시 정부의 경제정책 중에 이러한 다양한 주거공간 공급에 걸림돌이 있다면, 시급히 개선해 가야 할 것이다.
소문3. 서울에서 어린 자식을 둔 직장인 가족이, 아파트를 버리고 3억짜리 땅콩집으로 '실제' 이사를 간다는 것은, 경제적으로 매우 어렵고, 큰 결정이다. 직장생활하면서 여태 모은 전 재산을 탈탈 털어서 가는 것이나 다름 없는데.. 용기와 가족의 동의 없이는 불가능 할 듯.